전체 글142 HFS 파일 업로드 다운로드 HFS HFS는 HTTP File Server로 간이 웹서버이다. 다운로드는 http://www.rejetto.com/hfs/ 여기서 할 수 있다. HFS 파일 업로드 다운로드 마우스 우클릭 -> Add folder from disk 선택 리얼 폴더는 변동이 있으면 실제 파일시스템에 변동 사항이 생기고 비주얼 폴더는 가상공간에서 변동점이 생김 가상 폴더로 지정하게 되면 HFS로 파일이 모두 복사가 되고 리얼 폴더로 설정하게 되면 컴퓨터의 실제 경로를 사용하게 된다. 업로드도 같은 방법으로 설정해준 뒤 Add files로 원하는 파일을 업로드 해줄 수 있다 Properties에 들어가면 누가 접근할 수 있는지 누가 삭제를 할 수 있는지 설정 할 수 있다. 다운로드는 업로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해 주면 모두 .. 2018. 10. 23. SQL - 고급 데이터베이스 고급 데이터베이스 분산 데이터베이스(Distributed Database) 분산 데이터베이스는 논리적으로 같은 시스템에 속하지만 물리적으로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 요소 분산 처리기 : 자체적으로 처리 능력을 가지며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 시스템을 말한다. 분산 데이터베이스 :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해당 지역의 특성에 맞게 데이터베이스가 구성된다. 통신 네트워크 : 분산 처리기들을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논리적으로 하나의 시스템처럼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목표 위치 투명성(Location Transparency) : 접근하려는 데이터베이스의 실제 위치를 알 필요 없이 단지 데이터베이스의 논리.. 2018. 9. 12. SQL - 튜닝 튜닝 튜닝(Tuning)의 개요 데이터베이스 튜닝이란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자체, 운용체제 등의 조정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작업을 말한다. 데이터베이스 튜닝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높은 작업 처리량과 짧은 응답 시간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덱스 튜닝 인덱스 종류 B-트리 인덱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덱스 방식으로, 루트 노드에서 하위 노드로 키 값의 크기를 비교해 나가면서 단말 노드에서 찾고자 하는 데이터를 검색한다. 데이터 양에 상관없이 모든 데이터의 인덱스 탐색 시간이 동일하다. 비트맵 인덱스 인덱스 컬럼의 데이터를 Bit 값인 0 또는 1로 변환하여 인덱스 키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분포도가 좋은 컬럼에 적합하며, 데이터가 Bit.. 2018. 9. 12. SQL - 병행제어 병행제어 다중 프로그램의 이즘얼 활용하여 동시에 여래 개의 트랜잭션을 병행 수행할 때 실행되는 트랜잭션들이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을 파괴하지 않도록 트랜잭션 간의 상호 작용을 제어하는 기술. 병행성이란 여러 개의 트랜잭션들이 동시에 인터리빙하게 실행되는 것을 의미 (인터리빙 : 트랜잭션들이 번갈아가며 조금씩 자신이 처리해야 할 일을 처리하는 것) 병행 제어의 목적 데이터베이스의 공유도 최대화 시스템의 활용도 최대화 사용자에 대한 응답 시간을 최소화 단위 시간당 트랜잭션 처리 건수를 최대화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 유지 병행 제어의 필요성 문제점 의미 갱신분실 (Lost Update) 2개 이상의 트랜잭션이 같은 데이터를 공유하여 갱신할 때 갱신 결과의 일부가 없어지는 현상 모순성 (Inconsistency) .. 2018. 9. 12. SQL - 트랜잭션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연산 집합으로 작업의 단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 회복 및 병행 수행 시 처리되는 작업의 논리적 단위 하나의 트랜잭션은 정상적으로 종료될 경우 COMMIT연산이 수행되고, 비정상적으로 종료될 경우 ROLLBACK 연산이 수행된다. COMMIT 트랜잭션 처리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어 트랜잭션이 수행한 변경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는 연산. 내용을 변경한 트랜잭션이 완료되면 그 트랜잭션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는 새롭게 일관된 상태로 변경되며, 이 상태는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취소되지 않는다. ROLLBACK 하나의 트랜잭션 처리가 비정상으로 종료되어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이 깨졌을 때 트랜잭션이 행한 모든 변경 작업을 취소하고 이전 .. 2018. 9. 12. SQL - 정규화 정규화 정규화는 테이블의 속성들이 상호 종속적인 관계를 갖는 특성을 이용하여 테이블을 무손실 분해하는 과정으로, 정규화의 목적은 가능한 한 중복을 제거하여 삽입, 삭제, 갱신 이상의 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것. 정규형에는 제 1정규형, 제 2정규형, 제 3정규형, BCNT(Boyce-Codd Normal Form), 제 4정규형, 제 5정규형이 있으며, 순서대로 정규화의 정도가 높아진다. 도메인 원자값 -> 부분함수종속 제거 -> 이행적 함수종속 제거 -> 결정자이면서 후보키가 아닌 함수종속 제거 -> 다치종속 제거 -> 조인종속 제거 정규화 과정 제품번호 제품명 재고수령 주문번호 고객번호 주소 주문수량 1001 모니터 2000 A345 D347 100 200 서울 부산 150 300 1007 마우스 90.. 2018. 9. 12. SQL - 함수적 종속 함수적 종속 어떤 테이블 R에서 X와 Y를 각각 R의 속성 집합의 부분 집합이라 하면, 속성 X의 값 각각에 대해 시간에 관계없이 항상 속성 Y의 값이 오직 하나만 연관되어 있을 때 Y는 X에 함수 종속 또는 X가 Y를 함수적으로 결정한다고 하고, X->Y로 표기. 함수적 종속은 데이터의 의미를 표현하는 것으로, 현실 세게를 표현하는 제약 조건이 되는 동시에 데이터베이스에서 항상 유지되어야 할 조건이다. 학번 이름 학년 학과 400 이순신 4 컴공 422 간디 4 물리 301 윤봉길 3 수학 320 장보고 3 체육 205 김좌진 2 컴공 240 김구 2 수학 241 이승만 2 물리 104 강호동 3 컴공 101 쌈자 1 체육 학생 테이블에서 이름, 학년, 학과는 각각 학번 속성에 함수적 종속이다. 학번 .. 2018. 9. 12. SQL - 이상(Anomaly) 이상(Anomaly) 테이블에서 일부 속성들의 종속으로 인해 데이터의 중복이 발생하고, 이 중복으로 인해 테이블 조작 시 문제가 발생하는 현상 이상의 종류 이상의 종류에는 테이블 조작중에 발생하는 삽입 이상(Insert Anomaly), 삭제이상(Delete Anomaly), 갱신 이상(Update Anomaly)이 있다. 삽입 이상(Insert Anomaly) 삽입 이상은 테이블에 데이터를 삽입할 때 의도와는 상관없이 원하지 않은 값들로 인해 삽입할 수 없게 되는 현상. 삭제이상(Delete Anomaly) 테이블에서 한 튜플을 삭제할 때 의도와는 상관없는 값들도 함께 삭제되는, 즉 연쇄 삭제가 발생하는 현상. 갱신 이상(Update Anomaly) 테이블에서 튜플에 있는 속성 값을 갱신할 때 일부 튜.. 2018. 9. 12. SQL - VIEW VIEW 하나 이상의 기본 테이블에서 유도되는 가상 테이블. 저장장치 내에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사용자에게는 있는 것처럼 보인다. 뷰를 생성하면 뷰 정의가 시스템 내에 저장되었다가 생성된 뷰 이름을 질의어에서 사용할 경우 질의어가 실행될 때 뷰에 정의된 기본 테이블로 대체되어 기본 테이블에 대해 실행된다. 특징 뷰는 기본 테이블에서 유도된 테이블이기 때문에 기본 테이블과 같은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조작도 기본 테이블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다 뷰는 가상 테이블이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구현되어 있지 않다. 필요한 데이터만을 정의해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용이하고 명령문이 간단하다. 뷰를 통해서만 데이터에 접근함으로써 뷰에 나타나지 않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기본 테이블의 기본키를.. 2018. 9. 12. 이전 1 ··· 11 12 13 14 15 16 다음